티스토리 뷰
2-1. 한눈에 이해 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
- UI 설계에 따라서 기능별 대표 화면을 선정할 수 있다.
- 선정된 대표 화면에 대하여 그리드 시스템(화면 레이아웃)을 디자인할 수 있다.
1.모바일에서 실현되는 UI 화면
- 사용자는 그들의 디바이스에서 당신의 앱을 사용하는 동안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는 도중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불필요한 작업(Task)을 만들어내는 상황은 절대 허용하지 않는다
- 평범하거나 절대적 위치를 요구하는 레이아웃을 만들지 말라
- 텍스트에서 픽셀단위의 사용을 지양하고, DIP(dot in pixel, 밀도단위)를 사용한다.
- 다양한 크기의 이미지 리소스를 만든다(xhdpi, hdpi, mdpi, ldpi)
- 버튼이나 리스트 아이템등의 선택하는 타겟은 크고 명확하게 사용한다
- 적절한 여백(Margin)과 간격(Padding)을 사용한다.
- 사용자의 액티비티 스택(동작 히스토리)을 적절히 관리한다.
- 디바이스의 방향 전환을 적절히 처리한다
- 중복을 줄이기 위해 테마나 스타일, 영역, 색상, 자원 등을 이용한다
1. 대표 화면 설계 방법
(1) 한눈에 이해 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
- Mobile 환경은상대적으로 주변 상황의 변화가 크다
- 지속적인 주의집중이 보장되지 않는 환경을 고려하여 인지적 부하가 최소화 되도록디자인한다
- 상황의 변화가 크고 다양한 Task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Mobile 환경에서 인지적 부하를최소화시키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 “어떤 환경에서도 Task의 수행방식을 쉽게 이해하고 조작하게 만든다.”
- 상황의 변화가 크고 다양한 Task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현재 진행 중인 Task를 바로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게 디자인한다
(2) 시각적 명확성과 안정성이 제공되어야 한다
- 화면 레이아웃 설계는 다음의 UI 설계 가이드를 따라 설계하도록 한다
UX 제작 GUIDE는 다음과 같다.
- h5>
- (가) 화면크기에 맞는 정보량과 여백을 통해 안정된 시각적 영역을 제공한다.
- (나) 불필요한 정보에 의한 복잡한 Layout과 밀집된 정보표현을 지양한다.
- (다) 기기와 시선거리를 감안하여 텍스트 가독성을 확보한다.
- (라) 시각 연속성을 고려하여 화면간 이동시의 변화를 최소화한다
- 안드로이드 OS 스마트폰 시리즈(좌), iOS7(우) 화면을 보며 밝기 조절을 하므로 숫자값이 불필요하다.
- 불필요한 정보 최소화로 시각적 복잡도를 줄이고 사용자가 중요 정보에 집중하도록되어 있다.
- 안드로이드 OS L사 스마트폰 시리즈의 경우 Page Indicator가 너무 도드라져 화면 내단절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 iOS6 디바이스의 경우 Tablet의 화면 크기가 커진 만큼 정보량을 늘리기보다 안정감을고려하여 개수와 여백 제공하도록 디자인 되어져 있다.
- Music 화면의 경우 안드로이드 OS 스마트폰 시리즈에서는 시각적 고정 영역이 적고화면 별 주요 Component 위치가 달라져서 시각적 연속성이 없다. 화면 전환 시 중앙에서 펼쳐지는 Transition으로 산만함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 iOS7의 경우 시각적 고정 영역이 공통적으로 존재하고, 화면 별 주요 Component의일관된 위치로 시각적 연속성 제공 좌우 Sliding 방식의 Transition으로 구조 이해가 용이하고. 시각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느끼게 하도록 디자인되어있다.
'UIUX 엔지니어링 > UI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GUI 상세 디자인을 하기 (0) | 2020.10.23 |
---|---|
GUI 템플릿 제작하기 (0) | 2020.10.23 |
GUI 템플릿 제작하기 (0) | 2020.10.23 |
GUI 디자인 콘셉트 도출하기 (0) | 2020.10.23 |
GUI 디자인 콘텐츠 도출하기 (0) | 2020.10.23 |
댓글
© 2018 webstoryb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