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2.UI 개선 결과보고서 공유 • UI 개선 방안과 수립된 수정 계획을 바탕으로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관련 부서에공유할 수 있다. 1.사용자 중심 매뉴얼 일반적을 소프트웨어를 개발 할 때, 사용자 매뉴얼이 제작되어 제공되기는 하지만, 개발의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단기간에 작성되는 현실상의 문제 등으로 기능 설명 위주의 개발자관점으로 작성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작성된 매뉴얼은 이해도와 활용도가 떨어져, 실제 사용자들이 실제 사용환경에서 필요한 정보화 이해도 높은 편집 및 내용 구성을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보완한 것이 사용자 중심 매뉴얼이다 2.ISO/IEC 9126 ISO/IEC 9126(Information Technology-Software Quality Characteristics..

3-1.UI 개선방안 및 수정계획 수립 도출된 이슈사항에 대하여 UI 개선 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UI 개선 방안을 토대로 수정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1.UI 디자인 (Usdr Interface Design) 인터페이스, 즉 정보기기나 소프트웨어의 화면 등 사람과 접하는 면을 설계하고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하며, 스마트기기의 대중화로 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의 모바일 UI 디자인이주목을 받고 있으며, IA(Information Arvhitecture) 설계와 인터랙션 설계, GUI 디자인을 포함한다 2.UI 컨셉션 (UI Conception) UX(User Experience) 컨셉의 가시화 단계에서 진행되는 주요 화면(Key Screen)에 대한 UI컨셉 설계를 의미하며, 상세설계시 진행되는 UI..

2-2.평가 분석서 작성 및 이슈 도출 테스트 자료를 수집하여 사용성 평가 분석서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성 평가 분석서를 토대로 이슈 사항을 도출할 수 있다 1.태스크 성공 매트릭스 태스크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성 테스트 연구에서 태스크 성공 매트릭스는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방법이다. 개선 이전의 UI/UX 디자인과 개선 이후의 UI/UX 디자인의 태스크성공 여부(이진성공율)의 빈도 분포로 표현하여 비교한다. 2.에러 매트릭스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범한 실수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기법으로, 태스크 진행중 얼마나 많은 실수가 있었는지, 이러한 실수가 제품의 어느 부분에서 발생했는지, 디자인에 따라 어떤 종류의 에러가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 일반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유용한지에 대해서 말해줄 수..

2-1.사용성 테스트 수행 선정된 테스트 기법에 맞는 도구를 활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1.파일럿 테스트 파일럿 테스트란 주로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최신 기술을 개발하여, 실제 상황에서 실현하기 전에 소규모로 시험 작동 해보는 것을 의미한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실행하거나 플랜트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인들에 미리 파악해서 수정 보완라기 위해, 모의로 시행해 보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2.심층 인터뷰 (In Depth Interview) 1명의 응답자와 일대일 면접을 통해 소비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조사법으로, 어떤 주제에대해 응답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이야기함으로써 응답자의 내면 깊숙이 자리잡고있는 욕구, 태도, 감정 등을 발견하는 면접조사이다. 심층 인터뷰의..

1-3.사용성 테스트 계획서 작성 사용성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1.사용성 Jakob Nielsen은 사용성을 학습용이성, 사용효율성, 기억용이성, 최소한의 에러, 주관적 기쁨의 요견을 충족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시스템의 특성이라고 주장하였다. UPA(UsabilityProfessionals’ Association, 現 UXPA)에서는 사용성을 “회사가 비용을 절감시키고 사용자의 요구와 부합되는 제품을 만들어 내기 위해 개발사이클 전체에 걸쳐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는 제품 개발 방식” 이라고 정의하였다 2.사용성 테스트 (Usability Test) 소프트웨어의 품질 측면에서 사용성은 HCI(Human Computer Interface)를 구성하고 있는핵심 원리로, 부가적인 고려사..

1-2.테스트 환경 구축 선정된 기법에 적합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1.사용자 중심 디자인 (User Centered Design)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사용자가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해 사용자의 한계 능력과 상황에 맞추어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고하여 만들어 내는 인터페이스, 서비스, 제품 디자인의 철학적 접근 방법이자 디자인 사상이다. 디자인의 각 단계에서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집중적인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며 최종적 단계에서의 결과물인디자인은 인간 사용자의 편의와 복지의 실현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를 위해 각 단계의 디자인 문제 해결과정에서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하고 있고 어떻게 사용하게 될지에 대한 분석과 예상을 하는 디자인 리서치를 통해 디자인을 만..

1-1.테스트 기법 선정 구현된 UI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적합한 테스트 기법을 선정할 수 있다. 1.휴리스틱 평가 (Heuristic Evaluaion) 사용성에 대한 문제를 찾아내기 위한 사용성 공학 방법으로 전문가에 의해 이론과 경험을 근거로 하여 일련의 규칙들을 만들어 놓고 평가 대상이 그러한 규칙들을 얼마나 잘 지키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평가 방법이다. 2.페이퍼 프로토타입 (Paper Prototype) 평가 프로토타입의 가장 빠른 방법으로 제품의 전반적인 컨셉과 흐름을 잘 보여주며, 보는 사람들이 최종 제품에 대한 기대를 갖지 않고 더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면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3.선호도 (Prefernece) 평가 “A가 B보다 더 좋다”, “C가 D보다 더 편리하다”와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