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2.UI 개선 결과보고서 공유
1.사용자 중심 매뉴얼
- 일반적을 소프트웨어를 개발 할 때, 사용자 매뉴얼이 제작되어 제공되기는 하지만, 개발의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단기간에 작성되는 현실상의 문제 등으로 기능 설명 위주의 개발자관점으로 작성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작성된 매뉴얼은 이해도와 활용도가 떨어져, 실제 사용자들이 실제 사용환경에서 필요한 정보화 이해도 높은 편집 및 내용 구성을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보완한 것이 사용자 중심 매뉴얼이다
2.ISO/IEC 9126
- ISO/IEC 9126(Information Technology-Softwar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etrics), 품질특성 및 메트릭을 정의하고 있는 표준으로 1991년에 제정된 후 1994년 부터 품질특성과 내부 메트릭(Internal Metrics), 외부 메트릭(External Metrics)을 조정하고 품질측정 절차를 별도의 ISO/IEC 14598 표준으로 분리하였다. ISO/IEC 9126의 품질 모델(Quality Model)은 소프트웨어 품질을 측정·평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의 품질요소와 특성을 정의하고 개발공정에서 품질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는데 요구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품질 모델은 계층구조로 세분화되어 표현된다.
- 제1계층 : 사용자 관점에서 소프트웨어의 품질 목표를 정의한다.
- 제2계층 : 품질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광범위한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이다
- 제3계층 : 상위 특성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품질부특성(sub-characteristics)이다.
- 제4계층 : 소프트웨어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메트릭(metric)이나 품질인자가 위치한다.
3.정량적 리서치 (Quantitative Research)
- 경쟁사사이트, 벤치마킹사이트 또는 이전 디자인과 비교하여 현재 나의 UX 디자인 수준을평가하는 방법으로 설문 형태의 서베이(큰 사용자 집단의 결과로 일반화)가 대표적이며,리서치 한 회당 20명 정도의 참가자를 수행한다.
4.정성적 리서치 (Qualitative Research)
- 확실성이나 반복성 보다는 사용자의 행동과 관련된 컨텍스트와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방법이다. 테스트를 통해 사람들의 반응을 보고 인사이트를 얻어 현재의 안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며, 컨텍스츄얼 인쿼리가 대표적이다. 리서치 한 세트 당 5명~8명으로 구성하며,한세트 이상 수행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UIUX 엔지니어링 > UI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트 결과 보고하기 (0) | 2020.12.25 |
---|---|
사용성 테스트 수행하기 (0) | 2020.12.25 |
사용성 테스트 수행하기 (0) | 2020.12.25 |
사용성 테스트 계획하기 (0) | 2020.12.25 |
사용성 테스트 계획하기 (0) | 2020.12.25 |
댓글
© 2018 webstoryboy